엄마의 생각/생각
-
독감 감옥엄마의 생각/생각 2023. 1. 31. 19:23
열두 달의 마지막 날, 가온이는 유치원 졸업과 함께 독감을 얻었다. 주말이 끼어 병원에 바로 가지 못하는 바람에 회복이 더뎠다. 묵은 독감에 항바이러스제는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그 주는 하온이의 어린이집 방학이었다. 모처럼 단둘이 달콤한 시간을 보내야지. 엄마를 마음껏 독점하렴. 아이와 실컷 살을 부비고 눈을 맞추었다. 처음으로 누나 없이 키즈카페도 갔다. 태어나 세 돌을 앞두기까지 늘 경쟁 상태여야 하는 이 작은 아이를 어루만져주고 싶었다. 나의 일과는 잠시 내려놓기로 했다. 이후 불어닥칠 폭풍은 까맣게 모른 채였다. 가온이의 기침은 열흘 남짓 계속되었다. 독감은 의무 격리 기간은 없지만 그렇다고 전염력을 가진 아이를 데리고 밖으로 나갈 수도, 집에 혼자 둘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완치될 때까지 꼼짝..
-
Happy new year!엄마의 생각/생각 2023. 1. 1. 15:10
고요한 거실에서 남편과 오붓하게 맥주를 마시며 새해를 맞이하고 싶었다. 티비에선 뎅뎅뎅 보신각 타종 소리와 환호가 울려 퍼지고, 남편과 사랑을 한가득 담은 말을 나누고, 단잠에 빠진 아이들의 얼굴을 조심스레 어루만지며 잠드는 새해 첫날을 기대했다. 하지만 눈을 떴을 땐 나도 모르는 새에 이미 새해가 밝은 뒤였다. 아이들을 재우며 나도 남편도 함께 잠들어 버린 것이다. 어쨌든 2023년 1월 1일이다. 만 나이 시행이 예고된 터라 아이들에게 “떡국 먹고 한 살 더 먹자”, “여덟 살 누나 된 것 축하해”라는 말을 하기가 머뭇거려지는 새해 첫날이다. 가온이는 코로나인지 독감인지 모를 고약한 열병에 걸려 마스크를 쓰고 새해를 맞이한다. 이러나저러나 시간은 흐른다. 차곡차곡 성실히 사는 수밖에. 새봄엔 이사와 ..
-
행복엄마의 생각/생각 2022. 12. 14. 23:23
20대에는 그저 나의 존재가 사라지길 바랐다. 하루하루가 고통이었다. 증발하듯 홀연히 사라지는 방법을 알지 못해 여지없이 생을 이어갈 뿐이었다. 어느 날 내 몸에 또 다른 생명이 자란다는 것을 알게 되어, 나는 살아야 했다. 누군가의 생명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가 되는 것. 책임감은 사랑이고, 생의 이유이자 의무였다. 엄마가 되자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삶을 대하게 되었다. 나는 내 아이들이 ‘스스로 행복한 사람’으로 살길 원한다. 나에게 육아의 가장 큰 목표이다. 스스로 행복한 사람으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가르침이 아닌 본보기가 필요하다. 내가 먼저 스스로 행복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행복은 과연 무엇일까? 최인철 저 에 따르면,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상태다. 쾌족(快足), 즉 남의 시선에 연연하지..
-
No shibal keep going엄마의 생각/생각 2022. 11. 21. 23:54
좋은 말로 다재다능, 나쁜 말로는 다방면에 애매한 재능을 가진 사람. 한 가지 분야를 진득하게 개발하지 못하고 쉽게 그만둬버리는 사람, 한 마디로 끈기가 없는 사람. 그게 바로 나였다. 어린 시절엔 공부도, 피아노도, 운동도 잘하고 친구도 많아 늘 칭찬을 받았다. 고3 때는 음대 입시를 준비하면서도 체육교육과에 지원해볼까 고민했다. 이것저것 하고 싶은 것은 많지만 애매한 재능이 효력을 다하고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해질 즈음이면 금방 흥미를 잃고 그만두기 일쑤였다. 첫 아이를 낳고 몸도 마음도 많이 망가졌다. 숨 쉴 틈이 필요했다. 아이가 12개월이 되자마자 어린이집에 보냈다. 엄마가 되고 처음 갖게 된 자유시간, 체력을 기르고 싶었다. 돈 안 들이고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운동이 뭐가 있을까. 그즈음 SNS..
-
Xanax엄마의 생각/생각 2022. 11. 18. 15:52
오랜 세월이 흘러도 잊히지 않는 기억들이 있다. 그때의 상황과 감정들이 마치 지금인 듯 생생하다. 어젯밤 침대에 누워 눈을 감았는데 문득 떠올랐다. 방 문을 꼭꼭 잠그고 책상 밑에 의자 밑에 이불속에 웅크렸다. 검지 손가락으로 귓구멍을 막고 엄지 손가락으로 귓불을 접어 막고 나머지 세 손가락으로 귓바퀴를 막았다. 그래도 다 들렸다. 소리를 막으려고 소리를 질렀다. 온몸이 바들바들 떨리고 온통 땀범벅 눈물범벅 귀에는 상처가 났다. 한 사람은 폭력을 휘둘렀고 한 사람은 하소연했다. 나는 괜찮았지. 밝고 활발하고 뭐든지 잘하는 모범생. 그러나 그 나이의 아이를 키우며 이렇게 한 번씩 그때의 내가 그려진다. 이렇게 작았구나 이렇게 어렸구나. 그들은 최선을 다했겠지. 탓은 상대에게나 있는 거지. 아무도 이해하지 ..
-
일곱 살 딸에게 쓰는 편지엄마의 생각/생각 2022. 11. 1. 13:54
우리 가온이 즐거운 하루 보내고 있니? 오늘 아침 유치원 가는 길에 청개구리 마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좀 더 이야기하고 싶어서 편지를 써. 우리에게는 몸, 마음, 그리고 생각 주머니가 있어. 우리의 몸은 마음과 생각 주머니를 담고 있는 포장 상자 같은 거야. 그래서 몸이 튼튼하지 않으면 마음과 생각 주머니도 다칠 수 있어. 마음은 우리가 느끼는 기분 같은 거야. 기쁘고, 슬프고, 웃기고, 화나고, 좋아하고, 싫어하고, 계속하고 싶고, 그만하고 싶은 이 모든 기분이 바로 마음이야. 아기들이 자기 마음대로만 행동하는 이유가 바로 마음은 크고 생각 주머니는 작기 때문이지. 생각 주머니는 우리 몸을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해. 그리고 생각 주머니가 클수록 마음을 잘 달랠 수 있어. 예를 들면 엄마가 저녁 ..
-
미래는 알 수 없기에 불안하다.엄마의 생각/생각 2022. 5. 29. 16:29
“아이에게서 서운함이 느껴져요.” 어린이집 담임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칭찬 많이 해 주시고 이야기도 많이 들어주세요.” 손위 형제가 있는 아이들은 대개 그렇더라는 말씀도 덧붙이셨지만 이미 언급이 된 이상 나에겐 그러려니 넘기기 어려운 문제가 되었다. 이제껏 독차지해오던 엄마 아빠를 동생에게 나누어야 하는 첫째 아이가 안쓰럽고 미안했다. 더구나 감정이 예민한 아이기에 늘 첫째의 마음을 살피려 전전긍긍이었다. 틈을 내어 첫째와 단둘이 시간을 보내고 적극적으로 사랑을 표현했다. 그러나 아무리 애를 써도 첫째의 마음은 채워지지 않는 것 같아 고민이었다. 그 사이 둘째 아이에게는 서운함이 스미고 있었나 보다. 누나 마음에 생채기 날까 동동거리는 엄마가 왜 둘째에겐 소홀했을까. 앙 울음을 터뜨리는 얼굴을 왜 귀..